본문 바로가기
애니멀라이프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키우는 반려동물 순위 TOP-7

by 변방의집사 2025. 4. 22.
반응형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키우는 반려동물 순위 TOP-7

우리나라 반려동물 트렌드 완벽 분석

최근 몇 년 사이, ‘반려동물’이라는 단어가 너무나도 익숙해졌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키우는 동물’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의미로 받아들이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한국은 이미 반려동물 천만 시대에 진입했습니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약 1,5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키우는 반려동물은 무엇일까요?

이 글에서는 최신 트렌드와 데이터를 토대로 순위별 특징과 인기 이유를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말티즈 강아지

1위: 강아지(반려견) – 국민 반려동물

비율: 전체 반려동물 가구의 약 73%

대표 품종: 말티즈, 푸들, 포메라니안, 비숑, 웰시코기, 리트리버

강아지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 가장 많이 사랑받는 반려동물입니다.
특히 아파트 문화에 맞춰 소형견 인기가 압도적이고, 반려견 교육·사회화에 대한 인식도 크게 높아졌습니다.


사람과의 교감이 크고, 충성심이 강한 것이 인기 요인

산책이 필요하긴 하지만, 가족과의 시간에서 큰 만족을 줌

최근에는 중형·대형견 입양률도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

고양이

2위: 고양이(반려묘) – 조용한 인기 상승 중

비율: 전체 반려동물 가구의 약 26~28%

대표 품종: 코리안숏헤어, 스코티시폴드, 러시안블루, 렉돌, 먼치킨
고양이는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은 1인 가구와 조용한 라이프스타일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울음소리, 냄새, 산책 부담이 적고 실내 생활에 최적

츤데레 매력’과 ‘냥반응’이 집사들의 마음을 사로잡음

최근에는 다묘가정도 꾸준히 증가 중

토끼, 햄스터, 페럿, 기니피그

3위: 소동물 (토끼, 햄스터, 기니피그 등)

비율: 전체 반려가구의 약 3~5%

대표 동물: 토끼, 햄스터, 페럿, 기니피그, 고슴도치

최근 ‘저소음·저비용·소형’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토끼, 햄스터와 같은 소동물의 입양률이 높아졌습니다.

 

공간 제약이 적고, 비교적 관리가 쉬움

유튜브, 인스타에서 소동물 브이로그 인기

어린이 교육용 입양도 많지만, 책임감은 여전히 필요

앵무새, 카나리아, 잉꼬

4위: 조류 (앵무새, 카나리아, 잉꼬 등)

비율: 전체 반려 가구의 약 1~2%
특징: 사람 말을 따라하거나, 지능이 높아 교감 가능

조류는 소리와 움직임이 화려하고, 특정 종은 말을 따라 하기도해 아이들과 함께 키우기 좋습니다.

 

크기에 따라 케이지 환경만 잘 조성하면 큰 문제 없음

깃털날림, 소음, 정서적 외로움은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함

열대어 수족관

5위: 어류·수족관 생물 (금붕어, 열대어, 구피, 베타 등)

비율: 약 1~2%

트렌드: 수족관 인테리어, 아쿠아스케이핑

어항을 집 안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하면서 열대어와 수초 수조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청소와 온도 조절이 중요

물잡기(초기 세팅) 난이도는 초보자에겐 부담

카멜레온, 비단뱀, 도마뱀, 거북이

6위: 파충류 (도마뱀, 거북이, 뱀, 카멜레온 등)

비율: 1% 미만이지만, 마니아층 확고

대표 종: 레오파드게코, 비어디드래곤, 육지거북

반려 파충류는 최근 들어 유튜브, SNS에서의 인기로 입양 문의가 증가한 케이스입니다.

 

관리 방법은 특수하지만 정해진 루틴에 따라 키우기 쉬운 편

냄새나 털 날림 없고, 독립적인 성향

고슴도치, 페럿, 달팽이

7위: 기타 동물 (고슴도치, 페럿, 육지달팽이 등)

다소 이색적이지만, ‘특별한 반려동물’을 원하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경우입니다.

도시에서 키우기 위해선 사육 조건을 철저히 지켜야 함

특수동물인 만큼 병원 접근성, 질병 관리가 까다로울 수 있슴

 

한눈에 보는 반려동물 순위 요약

순위 동물 종류 비율(예상치) 특징 요약
1위 강아지(반려견) 약 73% 교감 강함, 가족 중심, 외출 필요
2위 고양이(반려묘) 약 26% 독립적, 실내 생활 최적
3위 토끼, 햄스터 등 소동물 3~5% 저소음, 소형, 초보자 가능
4위 조류(앵무새 등) 1~2% 소통 가능, 관찰 위주
5위 어류/수족관 생물 1~2% 인테리어 활용 가능, 관리 난도 있음
6위 파충류(도마뱀 등) ~1% 이하 조용하고 깔끔하지만, 특수 관리 필요
7위 기타 이색 동물들 - 마니아층 중심, 주의사항 많음


마무리하며,

반려동물을 키운다는 건 생명을 책임지는 일입니다.

그만큼 인기만 보고 입양하기보단, 자신의 생활 패턴, 성격, 환경에 맞는 반려동물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